본문 바로가기
경제 sound

스마트폰으로 하는 간편 송금시 실수를 줄일 수 있는 금융기관 예방기능

by 58sun 2024. 5. 22.
728x90
SMALL

 

 

 

 

  간편송금이 이젠 일상이 된 현재 인터넷 뱅킹 중 모바일 뱅킹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다보니 더욱 스마트폰을 통한 송금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인데 문제는 간편하게 모바일 송금을 이용하다보니 업무처리 과정에서 계좌 번호 또는 송금액을 잘못 입력하여 의도치 않게 상대에게 착오송금을 보내는 경우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착오송금에 관련 된 현재 현황과 예방할 수 있는 금융기관들의 기능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1. 착오송금의 현 상황

 

 

 

  금융위원회와 예금보험공사가 함께 착오송금이 발생하는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인터넷뱅킹에 따른 송금도 증가했지만 확연히 간편송금의 이용횟수가 더 증가하였습니다.

 

 

 

  간편송금이 크게 증가하다보니 그만큼 착오송금의 건수 및 반환요청 금액도 증가하게 되었고 착오송금 반환지원으로 해결되는 건수 및 금액도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자료출처 금융감독

 

 

 

 

 

2. 착오송금 발생 원인

 

 

 

  착오송금의 건수 및 금액이 워낙 증가를 하다보니 금융위원회와 예금보험공사가 착오송금 발생하는 주요 원인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착오송금반환지원제도를 운영하면서 87%이 인터넷뱅킹으로 계좌로 송금하거나 간편 송금 계정에서 송금을 하면서 발생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의 모바일 어플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경우가 64.5%를 차지하였습니다.

 

 

 

 

  송금을 보내면서 계좌번호를 잘못 입력(66.8%)을 하거나 최근 이체 목록에서 이체 대상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잘못 선택(28.3%)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3. 착오송금 예방 기능

 

 

 

  착오 송금 원인을 통해 금융위원회와 예금보험공사는 이체 시스템상에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구축되어 있는 기능들을 점검하면서 착오송금 예방 기능을 강화할 필요성에 주목하였고, 206개의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착오송금 예방 기능 구축을 추진하였습니다.

 

 

 

  3월에 착오송금이 가장 많이 발생한 10개의 금융기관의 모바일 앱 점검하여 이체 송금 실수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확인하였고, 이후 점검을 통해 확인한 착오송금 예방을 위해 필요한 기능의 모범사례를 마련하여 내용을 공유하고 각각의 모바일 앱 보완 및 개선을 하도록 요청을 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그 외의 자금이체가 가능한 금융기관 등 196개 회사에 고객들의 착오 송금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모범사례를 전파하고 각자의 모바일 에 필요 기능이 구축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물론 은행마다 송금하려는 금액이나 이중 입금, 착오 송금 등 잘못처리가 될 수 있는 경고성 문자를 보내는 조건들이 차이가  있긴 하겠으나 금융기관마다 착오송금 발생 가능성이 많이 감소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 모바일 뱅킹 상 착오송금 예방 기능 *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