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sound

예적금 상품별 특징 파악하여 만기 이자 금액 더 받는 방법

by 58sun 2023. 2. 19.
728x90
SMALL

  은행마다 예적금 상품들을 다양하게 판매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 상품에 만기 시까지의 조건을 걸어 그 조건이 충족되면 우대 이율을 추가로 적용하는 식으로 많이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이전에 예적금마다 고유의 가입 방식들이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예금, 적금별 각자 가입별 특징을 설명하고 가입하는 방식에 따라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 우선 예금, 적금을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의외로 예금, 적금을 구분을 잘 못하는 분들이 많이들 계시더라구요. 예금은 거액의 목돈을 처음부터 입금하여 만기 시 이자를 많이 받는 목돈 굴리기라고 생각하면 되며, 적금은 매월 적립을 통해 만기 시에는 원하는 목돈을 만드는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  예금 상품별 특징

      - 가장 기본인 정기예금

        예금의 가장 기본인 상품으로 일정기간 동안 일정금액을 입금하여 그 기간이 만료한 때에 지정된 이자와 원금을 지급하는 거치식 상품입니다.

        계약기간은 은행별 천차만별이며, 이자지급방법(월지급, 만기지급) , 금리적용방식(단리, 복리) 또한 은행마다 상품마다 다양합니다.

 

    - 회전식 정기예금

      고객의 선택에 따라 예금회전주기(은행마다 다름) 및 이자지급 방법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거치식 상품입니다.

    계약기간은 은행별 천차만별인데 최대 50년까지 가능한 상품도 있으며, 이자지급방법(월지급, 만기지급) , 금리적용방식(단리, 복리) 또한 은행마다 상품마다 다양합니다.

 

    - 처음에 가입한 금액에 추가도 가능하며 필요시 중간 건별인출까지 가능한 예금(은행마다 상품명칭이 다 다름)

      예금이지만 추가입금 및 중간에 건별인출이 가능한(출금시 중도해지이율 적용) 복합적 형태의 거치식 상품입니다. 은행마다 운영되는 부분이 조금씩은 다르지만 추가입금과 중도인출이 가능하다라는 큰 틀은 공통되는 부분입니다.

2. 적금 상품별 특징

  - 가장 기본인 정기적금

    적금의 가장 기본 정액정립식 상품으로 일정기간 동안 정해진 일정금액을 매월 정해진 날에 적립하여 만기시 적립된 원금과 이자를 받는 적립식 상품입니다.

  계약기간은 은행별 천차만별이며, 금리적용방식(단리, 복리) 또한 은행마다 상품마다 다양합니다.

 

  - 자유적립적금

   계약기간 동안 고객이 원하는 불특정 금액을 수시로 납입하고 만기에 원금 및 이자를 받는 적립식 상품입니다.

   계약기간은 은행별 천차만별이며, 금리적용방식(단리,복리) 또한 은행마다 상품마다 다양한데, 자유적립적금의 가장 큰 특징은 은행마다 납입가능금액을 꼭 확인해봐야 한다는 겁니다.

  만기시까지 자유로운 은행이 있는 반면, 입금제한이 있는 은행도 있으니 참고를 해야한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신협 같은 경우는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 만기지급일 1개월 이전부터 만기지급일 전일까지 기입금 월평균 금액의 3배 이내만 가능한다거나, 새마을금고는 계약기간의 3/4 경과 후부터 계약 잔여기간 동안 납입 할 수 있는 금액은 이전 기압입의 1/2 이내이며 만기 1개월 이내에는 전월의 입금액을 초과하여 입금할 수 없는 조항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고금리 상품일 경우 불특정 금액을 수시로 넣을 수 있는 자유적립적금같은 경우 만기 전에 만약 고액을 넣게 되면 은행들이 만기 시 더 많은 이자를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고액이 입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예적금 가입시 본인에게 유리하게 운용하는 꿀팁

     예적금 상품별 특징을 알아봤는데요. 상품의 특징을 제대로 알면 똑같은 예적금을 가입을 했어도 본인의 상황에 맞게 예적금을 가입하여 만기 시 받는 이자금액에 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만기시 내방이 어려운 직장인 경우

      만기 자동해지를 등록하여 만기 때 입출금 통장에 입금된 만기자금을 바로 신규예금을 한다거나 이마저도 시간이 어려운 사람이라면, 회전식 정기예금을 해서 만기 후 그대로 방치되는 일수를 없애고 바로 재예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기가 지난 후 예금의 적용이율은 가입 시 이율과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인데요. 그것도 이율이 현저히 낮아지기에 방치를 하면 할 수록 신규예치를 하는 것보다는 무조건 손해라는 겁니다. 은행마다 차이는 있지만 예적금 가입시 공지하는 예금 만기 후 이율만 보더라도 그 차이를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휴일 및 공휴일에 예적금 만기일 경우

      휴일 및 공휴일에 예적금이 만기일 때 만기 앞당김 지급이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은행 업무를 보지 못하는 날에 만기일 경우 만기를 앞당겨 해지 업무를 볼 수 있는데요.  이 경우 중도해지가 아닌 하루 이틀치 이자만을 제외하고 원금 및 이자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반대로 월요일에 해지를 하게 되면 하루 이틀 치의 이자를 추가로 받게 되는 건데요.

     만약 만기도래된 금액을 재예치 할 예정인 경우 다음 주에 금리가 인하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어떡해야 할까요?

  하루 이틀치의 이자를 못 받는다고 하더라도 보다 높은 금리로 재예치를 해서 나중에 받을 만기 이자 금액이 계산된다면 얼마 안 되는 일부 이자는 과감히 버리는 게 더 이득입니다.   

 

  - 적금가입 꿀팁

   만약 적금을 가입해야한다면 동일한 금리로 정기적금과 자유적금이 판매되고 있으면 무조건 자유적금을 가입을 해야합니다. 정기적금은 일정한 금액만 적립이 가능하지만 자유적금은 불특정 금액이 수시로 입금이 가능하기에 갑자기 생긴 자금이나 만기해지된 예금을 입금하여 추가 이자 수익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예금 이자받는 방식을 월지급으로 할 경우 월이자 금액이 나오는 달부터 자유적금으로 신규 가입을 한 다음 만기된 예금 원금까지 입금이 되면 예금 이자를 월지급으로만 받는 금액보다 자유적금을 통한 더 많은  이자 수령이 가능하니 이점 참고하셔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예적금 상품별 특징을 설명드리며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 방법도 공유해 드렸습니다. 다들 본인에게 적용하셔서 더 많은 이자수익을 내시기 바라며, 다음시간에는 이번에 예금을 가입하면서 처음 알게 된 한도계좌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서 유용하게 이용하는 방법까지 준비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