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sound

예적금 상품의 금리 종류와 이자 지급 방식

by 58sun 2023. 2. 14.
728x90
SMALL

 

  예적금마다 금리가 적용되는 방식도 다르고 이자가 지급되는 방식도 달라 본인에 상황에 맞게 계획적으로 예적금을 가입한다면 더 많은 이자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부터 두 파트로 나누어 예적금에 관련된 알아두면 쓸모 있는 잡다한 팁들을 여러 개 설명드리니 본인에게 맞는 저축계획을 세워 더 많은 이자수익을 내셨으면 합니다.

 

1. 금리의 종류

  - 단리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적용해 계산하는 방식

  예) 원금(1,000만원), 3년 금리 5.0% 인 경우 연간 세전이자 50만원

       3년간 예금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이자는 매년 동일하게 50만 원씩만 발생하여

      3년 뒤 원금 1,000만 원 + 150만 원(세전이자)이 됩니다.

 

  - 복리

    일정 기간마다 원금 + 이자를 더해서 다음 기간의 원금으로 계산하는 방식

    연복리 경우 : 원금을 연단 위로 재계산하여 이자금액을 계산하는 방식

   월, 분기, 반기, 연복리등 기간에 따라 더해진 원금 계산을 하면 되는 방식인데 현재 금융기관에서 복리로 운영되는 상품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유는 단리와 비교해서 계산 방식을 보더라도 일정 기간의 이자를 더하여 금융기관이 고객에게 추가로 이자를 더 지급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예) 원금(1,000만 원), 3년 금리 5.0% 인 경우 연간 세전이자 50만 원 첫 해는 단리와 동일

       2년 차는원금 1,000만 원과 첫 해의 이자 50만 원이 더해진1,050만 원이 원금이 되어 금리 5.0%가

       적용되어 2년 차 이자는 525,000원이 됩니다.

       3년 차 또한 2년 이자까지 더해진 11,025,000원이 원금이 되고 금리 5.0%가 적용되면 복리로 받는 최종이자는

       세전이자 1,576,250원이 됩니다.

 

  같은 조건이지만 단리와 복리의 차이로 76,250원의 차이가 나는 겁니다. 이렇게 보면 금액이 적어 크게 느껴지기 않을 수 있지만 예적금 가입 금액과 금리의 수치가 더 높아진다면 그 차이는 더 크게 벌어진다는 아셔야 합니다.

  현재 인터넷은행(카카오뱅크, 케이뱅크등), 증권회사 등 원체 금융기관들이 많아지다 보니 주거래 고객을 창출하기 위한 서로 간의 경쟁이 치열한 요즈음 특판의 개념으로 가끔씩 복리로 된 상품이 잠깐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어 상품이 출시되면 적은 금액이라도 가입을 하는 것이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 꿀팁입니다.

  아래 단리, 복리를 쉽게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를 링크를 걸어 둘 테니 본인이 가입한 상품이 있다면 대입하여 한번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이자의 지급방식

  - 만기일시지급

   원금과 이자를 지정된 만기 날짜에 한꺼번에 받는 지급 방식

  - 월지급

   원금에 대한 이자를 매월 받는 지급 방식

   매월 가입일이 되면 이자를 직접 받거나 자동이체 등록을 통해 입출금 통장으로도 받는 방식인데요. 월지급으로 추가 이자금액을 받을 수 있는 꿀팁이 있습니다.

  아마라 풍차 돌리기라고도 예전에 많이들 들어 보셨을 텐데요. 매월 받는 예금 이자를 다시 정기적금으로 가입하여 만기에 추가 이자를 받는 방식인데요. 위에서 설명드렸던 금리의 종류 중 월복리 방식을 예금과 적금으로 나누어서 실행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원금의 이자를 나누어 매월 지급받아 그 금액을 적금으로 가입하여 만기 후 이자에 대한 추가 이자를 받는 방식이니 만기일시지급보다는 당연히 더 많은 이자를 받게 되는 구조가 되는 겁니다.

  매월 받는 이자를 생활비로 쓰실 복적이 아니라면, 예금 가입을 월지급으로 하고 매월 받는 이자를 1년 신규 정기적금으로 가입하여 이자의 이자를 추가로 받는 것이 이자 수익을 더 낼 수 있습니다.

 

  요즈음은 고객의 기호와 조건에 맞게 예적금 상품들을 판매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신한은행의 KBO 야구와 관련된 쏠야구 적금, e스포츠인 LOL 월드 챔피언십과 관련된 DRX적금, 학생들의 저축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소액으로 할 수 있는 카카오뱅크의 26주 적금 등, 각 은행마다 다양한 상품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 상품들 역시 고객의 기호와 조건 이전에 각각의 예적금마다의 기본적인 조건들을 갖고 있는 상품들인데요. 다음시간에는 그 특징들을 살피고 더 실속 있게 가입하여 이자금액을 더 받을 수 있는 꿀팁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