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sound

신용카드 결제일 언제로 지정을 해야 이득일까?

by 58sun 2023. 11. 2.
728x90
SMALL

 

    지식인에 질문 중에 신용카드에 대한 질문도 상당한데 카드별 혜택이라던지 발급 및 관리 등 다양했지만 그 중에 매달 지정된 날마다 있는 질문이 있었는데 바로 매달 지정된 날에 돌아오는 신용카드 결제일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의외로 결제일로 인하여 자금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았기에 본인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소비생활을 위해 결제일을 어떻게 지정해야 할지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1. 카드 결제일에 대하여

 

  신용카드는 결제를 할 날짜를 지정한 다음 매달 한 달 동안 결제한 총 금액을 한꺼번에 납부하는 카드로 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인 소득 수준이나 신용점수를 보고 매 달 돈을 빌려주는 개념이기에 만 19세 이상의 4대 보험에 가입된 직장인이나 사업장을 운영하는 경영자이거나 무직이어도 부동산이 있어 임대료를 받는 등 발급 시 소득 외에도 자산(금융, 부동산)을 바탕으로 발급유무가 결정되는 카드입니다.

 

  대게 한 달 동안 카드를 사용하게 되면 해당 금액은 다음 달에 결제를 하기 때문에 당장 돈이 없어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한데 매 월 소득이 있어야 지정된 날에 납부를 할 수 있기에 직장인은 월급날이나 경영자는 사업수익이 수급이 되고 난 후에 결제일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카드를 쓴 날로부터 결제일까지의 기간은 12~ 45일이 되는데 결제일이 1일인 경우는 지지난달 18일 ~ 지난달 17일, 결제일 5일은 지지난달 22일 ~ 지난달 21일, 결제일 10일은 지지난달 27일 ~ 지난달 26일, 결제일 14일은 지난달 1일 ~ 지난달 말일, 결제일 20일은 지난달 7일 ~ 이번달 6일 마지막으로 결제일 25일은 지난달 12일 ~ 이번 달 11에 결제한 금액을 결제가 됩니다.

 

 

  대부분의 카드 결제 기간을 보면 두 달에 걸쳐 있어서 정확히 한 달에 본인이 얼마를 소비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2. 이득 되는 신용카드 결제일은 언제?!

 

  카드 이용 기간을 쭉 열거했는데 유일하게 달의 1일부터 말일까지 한 달이 딱 떨어지는 결제일이 있습니다. 바로 결제일이 14일 때입니다. 하지만 한 달로 딱 떨어지는 결제일은 카드사 별로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결제일을 등록하기 전 미리 파악을 하는 것(현대카드 12일, 하나카드 13일)이 좋습니다.

 

 

  1일부터 말일까지 사용한 금액을 납부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우선 신용카드엔 마일리지 혜택, 주유 혜택, 대형마트 할인, 공과금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이 존재하는데  보통 이 혜택을 받으려면 지난달에 사용한 카드 결제 실적이 일정 기준 이상이어야 하는데 다른 결제일은 한 달이 딱 적용이 되지 않기에 계산이 어렵기에 전월 1일 ~ 30일로 계산하기가 쉬운 결제일 14일로 하는 것이 관리하기도 쉽고 혜택도 더 받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집니다.

 

 

  카드사마다 한 달의 카드 이용자의 소비 패턴을 파악해서 안내를 해주는데 이를 통해 한 달에 본인의 소비 및 저축 성향을 좀 더 수월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급여나 수익에 따른 매 달 일정 수준의 자금을 어떻게 관리하고 소비할 건지 쉽게 계획하고 실천이 가능합니다.

 

 

  만약 월급날이 20일인 경우 결제일이 14일이라면 결제를 할 카드값이 3주 동안 갖고 있어야 하는데 보통 카드대금과 공과금 등을 파킹통장으로 생활비통장식으로 많이들 이용하는데 파킹통장 중 현재 OK저축은행의 통장의 경우는 백만원까지 최대 5%, 100만원초과 ~ 500만원 이하 즉 400만원까지는 4%의 이자를 하루만 입금을 해도 받을 수 있기에 3주가 넘게 결제를 할 금액을 보관하게 되면 추가 이자 수익까지도 얻을 수가 있게 됩니다.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