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해서 정책관련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8) 새희망힐링론(신용회복위원회)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금융피해를 입은 자로서 연소득 4,000만원 이하로 개인신용평점 하위 20%이거나 연소득 2,000만원 이하인 경우는 신용점수 무관하여 금융피해액 범위 내에서 최대 5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 한 상품입니다. 2년 거치 3년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방식이며 최장 5년까지 가능한 상품으로 금리는 연 3%로 2년이상 성실 납부한다면 2%로 감면혜택이 됩니다. 다문화 가족이거나 이탈주민일 경우 확인서류가 첨부가 되면 처음부터 2.5%를 적용해주니 접수시 신용회복위원회에 먼저 요건이 되는지 확인 후 필요서류 첨부하여 방문 접수하면 됩니다.
9) 개인회생론(신용회복위원회)
법원 개인회생 변제계획을 성실하게 이행 중인 채무자에게 해당되는 상품으로 생활안정자금, 학자금, 고금리대출대환, 시설개선자금, 운영자금 등 긴급자금을 저금리로 지원해줍니다. 지원대상은 법원 개인회생 인가자로 18개월 이상 변제계획을 성실하게 이행하거나 최근 3년 이내 이행을 완료한 자로 최대 700만원이내로 소요자금 규모, 대출금 상환여력 등에 따라 차등 지급 될 수 있고 금리도한 최소 2.0%~ 최대 3.8%이내로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상환기간은 최대 5년 이내 원리금 균등분할로 가능하며 신용회복위원회에 신청요건을 확인 후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로 방문하여 접수를 해야 합니다.
10) 근로자 생계비 대출(근로복지공단)
임금체불로 인해 생계가 곤란한 재직, 퇴직 근로자에게 저금리로 생계비를 대출해주는 생활안정 지원제도이며 가동 중인(휴업 포함) 체불사업장에 재직 중인 근로자가 신청일 이전 1년 동안 1개월분 이상의 임금이 체불되었을 경우 대출 신청일 이전 6개월 이내에 가동 중인(휴업 포함) 임금체불 사업장에서 최직한 근로자가 1년 동안 1개월분 이상 임금이 체불되었을 경우가 지원가능합니다. 1,000만원 범위에서 가능하며 금리는 연 1.5%이고 1년 거치 3년 또는 4년 중 선택이 가능한데 근로복지공단에서 주관하는 상품으로 보증료가 발생하고 서류지참을 하여 내방해야 접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역 근로복지공단에 방문 전 꼭 이용관련 문의를 먼저 하길 바랍니다.
11) 소액생계비 대출(근로복지공단)
임금이 감소한 근로자의 생계비를 지원하는 상품으로 대출 신청일 현재 소속되거나 노동을 제공하는 사업장에 3개월 이상 근로 중으로 대출 신청 당시 월 소득이 전 달의 월 소득에 비해 30%이상 감소하여 월 소득이 196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신청이 가능하며 한도는 200만원 범위내로 연 1.5%금리로 1년 거치 1년 원금균등분할상환으로 상환 할 수 있으며 근로복지공단의 보증으로 된 상품으로 보증료가 부과되는 상품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12) 임금감소생계비 대출(근로복지공단)
임금이 감소한 근로자의 생계비를 지원해주는 대출상품으로 신청일 현재 소속되거나 노동을 제공한 사업장 에 6개월 이상 근속 중이고, 소속 사업장의 경영 상 이유로 소득이 감소되기 시작한 날 이전 3개월간의 월평균 소득이 30%이상 감소하여 신청일 이전 3개월 월 평균 소득이 196만원 이하인 자가 지원이 가능하며 1,000만원 범위 내에서 임금감소액만큼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금리는 연 1.5%입니다. 1년 거치 3년 또는 4년 매월 균등분할상환 방식으로 상환이 가능하며 근로복지공단의 보증으로 운영되는 대출이기 때문에 보증료가 따로 발생하여 대출실행 시 보증료 금액 제외하고 금액이 입금되는 점 인지해야 합니다.
13)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대출(근로복지공단)
대출 신청일 현재 소속되거나 노동을 제공한 사업장에 3개원 이상 근로 중(일용직인 경우 별도의 조건 존재)인 월평균 소득 280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가능하며 혼례비만 1,250만원까지만 가능하며, 학자금, 양육비, 의료비, 부모요양비, 장례비는 1,000만원까지 가능하고 금리는 1.5%로 저렴하며 1년 거치 또는 3년, 4년으로 지정이 가능하여 매월 균등분할상환으로 접수하여 상환을 하면 되는데 접수 전 근로복지공단(Tel 1588-0075)에 조건을 꼭 확인하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금융취약층들을 위한 정책을 안내해드렸습니다. 앞으로 금융관련 정책들에 대해 분야별로 나눠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정책을 참고해서 경제적으로 좀 더 여유있는 삶을 찾길 바랍니다.
'경제 sou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구입 및 임차자금관련 서민금융 정책 제대로 알고 활용하기 (0) | 2023.06.15 |
---|---|
창업, 운영자금관련 서민금융 정책 알고 활용하기 (0) | 2023.06.14 |
서민 금융관련 정책 파악하고 활용하기(금융취약계층) ① (0) | 2023.06.12 |
곧 판매하는 청년도약계좌 정확히 알고 가입 판단하기 (0) | 2023.06.10 |
온라인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안내 (0) | 2023.06.02 |
댓글